2025 수능, 국어·영어 '평이'했고 수학은 '쉬웠다'…만점자 11명 (2025)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 국어와 영어 영역은 평이한 수준으로, 수학은 다소 쉽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만점자는 11명으로 집계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 11월 14일 치러진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5일 발표했다.

2025 수능, 국어·영어 '평이'했고 수학은 '쉬웠다'…만점자 11명 (1)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지난 11월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반포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를 보면 국어와 수학 모두 불수능으로 불렸던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됐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전체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 점수가 낮아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한다. 반대로 시험이 쉬워 평균 점수가 올라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영역별로 보면 2025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139점이다. 지난해 수능(150점)보다 11점이 떨어졌다.

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2020년도 140점, 2021년도 144점, 2022년도 149점, 2023년도 134점이다. 이와 비교했을 때 평이한 난이도로 출제한 것으로 보인다.

1등급 컷은 131점으로 지난해 133점보다 2점 하락했다.

수능 국어 만점자 수는 1055명으로 지난해 64명에 비해 991명으로 크게 늘었다.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이다. 역시 지난해 수능(148점)보다 8점이 하락했다.

만점자 수는 1522명으로, 지난해 612명에 비해 910명이 늘었다.

수능 수학 영역은 2022학년도에는 147점, 2023학년도에는 145점이었다. 이에 비춰봤을 때 이번 수능 수학 영역은 다소 쉽게 출제된 것으로 해석된다.

1등급 컷은 131점, 2등급 컷은 125점이었다. 지난해는 1등급 컷 133점, 2등급 컷 126점이었다.

영어 영역에서 1등급(원점수 90점 이상)을 받은 수험생 비율은 6.22%(2만8587명)였다. 2등급(80점~89점)은 7만 5100명으로 16.35%였다.

지난해 영어는 역대급으로 낮은 1등급 비율(4.71%, 2만 843명)을 기록했는데, 이번 수능에서는 평년보다 살짝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실시된 이후 1등급 비율은 2018년도 10.03%, 2019년도 5.30%, 2020년도 7.43%, 2021년도 12.66%, 2022년도 6.25%, 2023년도 7.83%다.

탐구 영역의 1등급 컷은 사회탐구 65~69점, 과학탐구 65~70점, 직업 탐구 65~68점이다.

사회탐구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생활과 윤리가 77점으로 가장 높았다. 정치와 법은 66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화학Ⅱ가 73점으로 가장 높았다. 화학Ⅱ는 지난해도 과학탐구영역 중 표준점수 최고점(80점)을 기록했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가장 낮은 과학탐구 영역은 화학Ⅰ(65점)이었다. 지난해에는 지구과학Ⅰ(68점)이 가장 낮았다.

직업 탐구 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상업 경제가 72점으로 가장 높았다.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은 66점으로 가장 낮았다.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 1등급 비율은 19.62%(9만 950명)이었다. 이는 전년 18.81%(8만 3674명)보다 0.81%p 떨어진 수치다.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원점수 45점 이상이 1등급이다. 1등급 비율은 중국어Ⅰ(11.43%), 베트남어Ⅰ(8.06%), 러시아어Ⅰ(7.46%), 독일어Ⅰ(5.33%) 순으로 높았다.

1등급 비율이 낮은 순은 아랍어Ⅰ(1.26%), 한문Ⅰ(2.08%), 일본어Ⅰ(2.89%), 프랑스어Ⅰ(4.79%) 등이다.

올해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은 46만 3486명이다. 이 중 재학생은 30만 2589명(65.29%),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6만 897명(34.71%)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 수능 만점자는 11명"이라고 밝혔다.

이번 수능 개인별 성적 통지표는 6일 교부된다.

chogiz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尹대통령, 탄핵돼야" 47.5%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지난 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무위로 끝난 윤석열 대통령의 향후 거취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탄핵돼야 한다'는 의견이 과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만 이전에 계엄령을 경험해본 세대는 '탄핵'보다는 '자진 사퇴'나 '현직 유지'와 같은 비교적 사회적 충격이 덜한 대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5일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4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 조사 결과 '탄핵돼야 한다'는 응답이 47.5%로 나타났다.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27.9%, '현직을 유지해야 한다' 23.1%, '잘모름'은 1.6%로 조사됐다.성별로는 여성의 48.0%가 '탄핵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자진 사퇴'는 26.7%, '현직 유지'는 23.9%, '잘모름'은 1.5%로 집계됐다.남성은 47.0%가 '탄핵'을 선택했고, '자진 사퇴'는 29.1%, '현직 유지' 22.3%, '잘모름'은 1.6%였다.연령별로는 계엄령을 체감해 본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청장년층은 '탄핵'을 외쳤으나, 고령으로 갈수록 '자진 사퇴' 또는 '현직 유지'를 꼽았다.만 18~29세는 '탄핵돼야 한다' 56.2%, '자진 사퇴' 24.7%, '현직 유지' 18.0%, '잘모름' 1.1%로 조사됐다. 30대는 '탄핵' 54.4%, '자진 사퇴' 22.6%, '현직 유지' 21.0%, '잘모름' 2.0%였다. 40대는 '탄핵' 65.1%, '자진 사퇴' 22.5%, '현직 유지' 12.0%, '잘모름' 0.4%였다. 50대는 '탄핵' 51.0%, '자진 사퇴' 29.4%, '현직 유지' 18.7%, '잘모름' 1.0%였다.반면 45년 전인 1979년 계엄령을 경험했던 60대는 '탄핵'보다 '자진 사퇴'를 선택했다. '자진 사퇴'가 40.0%, '탄핵' 31.9%, '현직 유지' 26.0%, '잘모름' 2.1%로 조사됐다. 70대 이상은 '현직 유지'가 47.7%로 가장 많았고, '자진 사퇴' 27.0, '탄핵'이 22.0%, '잘모름'은 3.4%였다.지역별로는 광주·전남·전북에서 '탄핵' 요구가 가장 많았다. 광주·전남·전북은 '탄핵해야 한다'는 답변이 56.9%, '자진 사퇴' 31.4%, '현직 유지' 11.7%로 나타났다. 대전·충청·세종은 '탄핵' 53.1%, '자진 사퇴' 26.1%, '현직 유지 18.9%, '잘모름' 1.9%였다. 경기·인천은 '탄핵' 50.5%, '자진사퇴' 29.2%, '현직 유지' 19.3%, '잘모름' 1.0%였다.서울은 '탄핵' 44.6%, '현직 유지' 28.6%, '자진 사퇴' 25.6%, '잘모름' 1.1% 순이었다. 부산·울산·경남은 '탄핵' 44.2%, '자진 사퇴' 28.4%, '현직 유지' 25.2%, '잘모름' 2.2%였다. 대구·경북은 '탄핵' 37.9%, '현직 유지' 32.7%, '자진 사퇴' 24.1%, '잘모름' 5.2%로 집계됐다. 강원·제주는 '탄핵 34.8%, '현직 유지' 34.4%, '자진 사퇴' 30.8%였다.지지정당별로는 정치성향에 따라 크게 '탄핵'과 '현직 유지'로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탄핵' 64.3%, '자진 사퇴' 32.3%, '현직 유지' 3.1%, '잘모름' 0.3%로 응답했다.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현직 유지'가 65.9%, '자진 사퇴' 16.5%, '탄핵' 13.7%, '잘모름'은 3.9%였다.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탄핵'이 70.7%, '자진 사퇴' 26.4%, '현직 유지' 2.9%였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탄핵' 53.9%, '자진 사퇴' 31.1%, '현직 유지' 15.0%였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탄핵' 54.5%, '현직 유지' 24.0%, '자진 사퇴' 21.5%였다. 무당층은 '탄핵' 49.7%, '자진 사퇴' 36.4%, '현직 유지' 11.5%, '잘모름' 2.4%였다.국정지지별로는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자들 가운데 59.5%가 '탄핵'을 선택했다. '자진 사퇴'는 34.3%, '현직 유지'는 5.3%, '잘모름'은 0.9%였다. 반대로 '잘하고 있다'는 응답자들 가운데서는 90.7%가 '현직 유지'를 꼽았다. '자진 사퇴'는 3.2%, '잘모름' 3.2%, '탄핵'은 2.8%였다.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회의 저지로 불과 '6시간 천하'로 막을 내린 '빈손 계엄' 사태는 현직 대통령의 정권 조기 종식을 자초한 '정치 흑역사'로 기록될 수 있다는 평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면서 "다분히 '해프닝성'으로 끝난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이제 윤 대통령이 직접 해명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6.1%, 신뢰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다.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ight@newspim.com 2024-12-05 09:00

사진

[여론조사] 尹지지율 7.5%p↓, 20.3%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대폭 하락해 20% 초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5일 발표됐다.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47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20.3%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78.5%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1.3%다.긍정평가는 지난 조사에 비해 7.5%포인트(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8.7%p 상승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58.2%p다.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17.4% '잘 못함' 80.7%였고, 30대에서는 '잘함' 19.3% '잘 못함' 78.6%였다.40대는 '잘함' 9.6% '잘 못함' 89.5%, 50대는 '잘함' 14.6% '잘 못함' 85.1%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24.3% '잘 못함' 74.2%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 41.1% '잘 못함' 58.0%로 집계됐다.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22.6%, '잘 못함'은 75.4%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17.3% '잘 못함' 81.8%, 대전·충청·세종 '잘함' 18.3% '잘 못함' 81.7%, 강원·제주 '잘함' 27.0% '잘 못함' 73.0%로 조사됐다.부산·울산·경남 '잘함' 25.1% '잘 못함' 73.6%, 대구·경북은 '잘함' 27.2% '잘 못함' 69.6%로 집계됐다. 전남·광주·전북은 '잘함' 10.4% '잘 못함' 88.8%로 나타났다.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21.1% '잘 못함' 78.3%, 여성은 '잘함' 19.4% '잘 못함' 78.6%였다.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무모한 계엄 선포는 탄핵 빌미를 주는 자충수가 돼 지지율 추락이란 결과를 몰고 왔다"며 "계엄 선포로 국민이 동요하면서 사회적 혼란을 초래했다"고 했다.그러면서 "윤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는 심각한 헌법 위반이자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비상 계엄 선포는) 지금까지 지지율 하락 원인과는 차원이 문제"라며 "10% 중반대까지 떨어질 수 있었는데 보수 진영의 변화가 크지 않아 20%대 초반을 유지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6.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다.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parksj@newspim.com 2024-12-05 09:00

  • 위례신사선 민자사업 해지 주민들 소송
  • 국회 투입 계엄군 '특전사·수방사' 추정
  • '계엄 건의' 김용현 전 국방장관은 누구

[주요포토]

'윤석열 퇴진 촉구 촛불집회

비상계엄 규탄 나선 대학생들

한국여성단체연합, 헌정질서 민주주의 파괴한 윤석열 파면

'오늘 점심은 빵이에요'

한동훈 "尹 조속한 직무 집행 정지 필요"

이재명 "주권자 생명 위협한 尹, 빠른 시일 내 직무 정지해야"

'대학 어디에 지원할까!'

2025 수능, 국어·영어 '평이'했고 수학은 '쉬웠다'…만점자 11명 (2025)

References

Top Articles
Latest Posts
Recommended Articles
Article information

Author: Sen. Emmett Berge

Last Updated:

Views: 5345

Rating: 5 / 5 (60 voted)

Reviews: 91% of readers found this page helpful

Author information

Name: Sen. Emmett Berge

Birthday: 1993-06-17

Address: 787 Elvis Divide, Port Brice, OH 24507-6802

Phone: +9779049645255

Job: Senior Healthcare Specialist

Hobby: Cycling, Model building, Kitesurfing, Origami, Lapidary, Dance, Basketball

Introduction: My name is Sen. Emmett Berge, I am a funny, vast, charming, courageous, enthusiastic, jolly, famous person who loves writing and wants to share m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ith you.